백수오 스캔들
지난 4월 22일 한국소비자원은 성분 분석 검사 결과 32개의 백수오 제품 중 21개의
제품에서 식품으로 사용금지 된 이엽우피소가 검출되었다고 발표했다. 이엽우피소
는 식품으로는 물론 약재로도 사용할 수 없으며 일부 논문에선 독성을 경고하기도
한 식물이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779D48555AF3E02C)
그러나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가 4월 30일, 섭취에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밝혀 소비자들에게 혼란을 주었다.
[PD수첩]은 이엽우피소 독성 논란부터 중국 식물인 이엽우피소가 국내에 들어와 유
통되기까지의 과정, 건강기능식품 인증의 문제. 그리고 국민 먹거리 안전을 담당하
는 식약처의 대응 자세에 대해 심층 취재했다.
■ 이엽우피소 먹어도 되나?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4CEE47555AF3FC30)
정말 화가 나는데요. 제가 이걸 먹고 평소에 갱년기 장애 있는 것들이 완화되기
는 커녕 더 몸이 안 좋은 그런 것들이 발생을 했어요. 먹고 나서 속은 기분? 너무 속
은 기분이고..
- 백수오 복합 추출물 구매자 A씨
2014년 한 해 동안 식약처에 신고 된 건강기능식품 부작용 추정 사례는 총 1733건.
그 중 백수오 제품 부작용 사례는 301건으로 유산균(프로바이어틱스)에 의한 부작
용 다음으로 많았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19C448555AF40C18)
부작용 경험자들은 주로 두드러기, 소화불량, 간기능 이상, 수
면장애를 호소했다. 부작용의 원인을 밝히기 위한 목적으로 소비자원이 백수오 관
련 제품들을 수거, 성분을 분석한 결과 상당수 제품에서 이엽우피소가 혼입된 사실
이 밝혀졌다.
이엽우피소. 정말 섭취에 문제 없을까?
이엽우피소 독성에 대한 연구 중 1998년 발표된 중국 난징 철도 의학원의 이엽우피
소 독성연구 논문에는 이엽우피소가 간독성, 신경쇠약 등의 부작용을 유발하며, 이
엽우피소가 1/5 함유된 사료를 먹은 쥐들이 계속해서 죽었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그러나 식약처는 난징 철도 의학원의 논문 등 이엽우피소 독성 관련 논문들의 연구 방
식이 OECD 가이드라인에 맞지 않고 대만과 중국에서는 이엽우피소가 식용 혹은 약
재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섭취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식약처의 식품원재료 데이터베이스에는 이엽우피소가 식용불가 식물로
규정되어 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18EC4A555AF41D2E)
소비자들은 먹으라는 건지 말라는 건지 혼란스럽기만 한 상황이다.
■ 이엽우피소, 누가 왜 키우나?
이엽우피소가 우리나라에 처음 들어온 시기는 1990년대 초반으로 경상북도 영주 지
역을 중심으로 재배되기 시작해 충주, 제천, 단양 등지로 퍼져나갔다. 2005년 충북농
업기술원이 이엽우피소의 생약 등재를 요청 했지만, 중앙약사심의위원회는 약재로
서의 효능과 처방에 대한 명확한 근거가 없다는 이유로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러한 이엽우피소가 어떻게 건강기능식품의 원료에서 검출된 것일까? 업계 종사자들은 백
수오의 폭발적 수요 증가로 일부 농가가 이엽우피소를 재배하여 납품했으며, 그것
이 이엽우피소 검출의 원인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이엽우피소는 백수오에 비해 재배기간이 1/3로 짧으면서도 수확량이 더 많기 때문에 재배 농민의 입장에서는 경제성이 높기 때문이다.
식약처에서는 과연 이 실태를 모르고 있었을까?
2009년 식약처는 대한한의사협회에 이엽우피소가 ‘하수오’ 또는 ‘백수오’의 위품으
로 유통될 우려가 있으니 주의하라는 공문을 보냈다. 결국 식약처가 이 문제를 인지
하고 있었음에도 이엽우피소의 재배와 유통을 철저히 제한하지 않았던 것이다.
■ 백수오 등 복합추출물이 건강기능식품이 된 까닭은?
건강기능식품 인증과정에 제출된 백수오 등 복합추출물의 효능에 관한 미국의 임상
연구 논문. 논문의 저자를 살펴보면 한국계 미국인 의사 A씨를 제외하고는 모두 내
츄럴엔도텍의 관계자들이다. 임상의 대표저자로 등록되어 있는 A씨는 과연 누구일
까?
제작진은 미국 현지에서 A씨를 만나 그가 내츄럴엔도텍의 백수오 등 복합추출물
을 미국에 수입, 판매하는 S사 대표와 형제 관계라는 사실을 밝혀낼 수 있었다.
A씨의 논문을 제외하면 사람을 대상으로 한 백수오 등 복합추출물 임상관련 논문은 단
한 건 뿐, 총 2건의 임상 시험으로 백수오 등 복합 추출물의 효능을 입증할 수 있었을
까?
우리나라 건강기능식품의 등급은 모두 5가지로 나뉜다(아래 표 참조). 내츄럴엔도텍
의 ‘백수오 등 복합 추출물’이 받은 생리활성 2등급은 한 건 이상의 임상시험이 확보
되면 받을 수 있는 등급인데,
더 큰 문제는 건강기능식품의 95% 이상이 2등급, 혹은 그보다 못한 3등급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기능성 구분* *기능성 내용*
- 영양소 기능 인체의 정상적인 기능이나 생물학적 활동에 대한 영양소의
생리학적 작용
- 생리활성 1등급 OO에 도움을 줌
- 생리활성 2등급 OO에 도움을 줄 수 있음
- 생리활성 3등급 OO에 도움을 줄 수 있으나 관련 인체적용시험이 미흡함
- 질병발생 위험감소 기능 질병의 발생 또는 건강상태의 위험감소와 관련한 기능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 인정 현황 - 식품의약품안전처]
백수오 복합 추출물은 이렇게 손쉽게 건강기능식품으로 인정받고 수많은 사람들에
게 판매 되어 지난 한 해 천억 원 이상의 매출을 올렸다.
건강기능식품 백수오를 둘러싼 논란과 수많은 의혹들. [PD수첩]이 가짜 백수오 파
문의 실태와 진실을 집중 취재했다.
<5. 19일 밤 23:15분 방송>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