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제작진은 ‘최근 10년 간 사립학교의 친인척 채용 현황 명단’을 입수했다.
■ ‘자리 주인 있습니다.’ - 공공연한 내정자의 존재
한 기간제 교사 모임 온라인 사이트에 ‘내정자’라는 단어를
2012년, 그 사이트에서 한 통의 쪽지를 받았다고 한다.
“A사립 중학교에 대해서 아시는 분 있으면 정보 좀 달라고 글을 올려놨어요.
거기 내정자가 있는 걸로 알고 있다고. 지원 안 했으면 좋겠다고…(중략)“
상당수의 학교에서 친인척 채용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했다.
모두 제대로 된 절차를 거쳐서 공정하고 엄격하게 채용했다고 주장하는 학교들.
그 주장이 사실인지 여러 제보와 채용자료를 통해 진실을 파헤쳐본다.
2015년, 서울시교육청에서 291개의 사립 중‧고등, 특수학교에
경기도교육청까지 포함하면 1조 6천240억 원이 넘는다.
이처럼 사립학교 인건비 등의 부족분을 국고로 보조하다보니
재원구조상 사립학교가 아니라 ‘준 공립학교’라는 의견도 있다.
하지만 교육당국이 사립학교를 관리, 감독 할 권한은 크지 않다.
현행법상 사학 법인의 ‘고유한 인사권’에 직접적으로 관여할 수 없기 때문이다.
2012년, 같은 재단의 ‘중학교 교장의 아들’이 채용됐다.
교장의 아들은 필기시험 3등, 수업 시연 3등, 면접 1등을 종합해
전형 중 면접의 비중이 45%이기 때문에 최종 합격이 가능했던 것이다.
설립정신을 이어갈 사람을 찾기 위해 면접을 중시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사립학교는 설립자가 왜 이걸 세웠느냐? 설립 정신이 생명이잖아요.
(중략) 외부에서 물론 찾을 수 있어. 시험 봐서 찾는 것도 물론 방법이겠지.
그런데 그걸 찾을 수 있겠어요? 그거 가문이에요. 가문.“
그들이 말하는 ‘설립정신을 구현하는 인재’는 무엇일까?
그리고 현재 우리나라 사립학교의 공공성과 투명성은 얼마나 보장되고 있을까?
[PD수첩]은 가장 공정하고 정직해야 할 학교를 둘러싼
친인척 채용 의혹에 대해 집중 취재하고 그 실태를 고발한다.
RECENT COMMENT